태을주 천지조화
[ 아리랑]중국, 왜 아리랑 도둑질 기도하나 본문
[아리랑]중국, 왜 아리랑 도둑질 기도하나
[아리랑]중국, 왜 아리랑 도둑질 기도하나
【서울=뉴시스】김연갑의 ‘아리랑’ <2>
사실 우리에게 중국은 1895년 이전에는 사대주의 치욕의 역사로 인식돼 있다. 근래에는 한국전쟁(抗美援助) 당시 ‘인해전술’ 전략 탓에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했다. 이는 양국 간에 현실적인 이익의 충돌이 아니라 인식상의 격차일 수 있다. 즉 역사기억과 민족심리상의 국제관계였다는 말이기도 한데, 동북공정 이후부터 ‘아리랑사태’에 이르러서는 역사 갈등에 의한 현실적 적대감을 갖게 되었다.
1997 - 북한 고구려벽화 신청준비
- 북한 고구려벽화 세계유네스코에 신청
- 중국 문화 부부장 북한에 와서 공동등재 요청
-『고대중국 고구려역사총론』발간(흑룡강 교육출판사)
2002 - 동북공정 시작, 학자 1000명, 70편의 논문 발표-고구려 중국역사 편입
- 유네스코 제27차 총회에서 고구려벽화 신청에 대해 중국 심사위원 다수 보류 주장
2004. 7 - 세계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고구려벽화군’으로 북한·중국 공동 등재
2005. 3 - <비물질문화유산 보호공작 강화에 관한 의견> 발표
2005. 6 - 비물질문화유산 센서스 실시
- '전통 명절 운용과 민족문화 선양에 관한 의견' 발표
2005. 7 - 한국 <강릉단오제> 세계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 이에 대한 충격과 내부 논란
2005. 12 - 문화유산 보호 강화에 관한 통지
2006. 4- ‘중화애국공정(工程)연합회’를 앞세워 조선족은 물론 한국과 북한의 문화·역사를 포함하는 대규모 문화단지를 옌볜 지역에 조성키로 결정
2006- 옌볜(延邊) 조선족 자치주 정부와 중국 문화부 산하 '중화애국공정연합회'
2006(강릉단오제 논란 결과)- 매년 6월 두 번째 토요일 <문화유산의 날>로 지정기념
-1차 조선족 농악(국가급)·널뛰기·그네타기 3건 등재
2006~2011-5년 간 <비물질문화유산 보호사업 표창대회>를 통해 조사, 선정(현·시 급 174 건, 주급 89건, 국가급 15건, 성급 57건, 세계유산 1건(조선족 <농악무>) 등재, 조선족 문화 등재 전체 335건
2007-매년 1회-<연변중국조선족 민속문화 관광박람회> 개최
2008- 제2차 성급 무형문화재 아리랑타령 외 37종 신청
- 연길민족악기제작공예·조선족 학춤·장고춤·조선족 회갑잔치·조선족복장(한복) 등 등재
2011- 제3차 국무원 <소우공포제삼비> 발표,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 명록적통지에 ‘阿里郞’(11-147호), 길림성 연변조선자치주 소재, 총 등재 1219건 중 1077 번째로 등재함 (벤처아리랑 제공)
이상의 연표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은 2005년부터 소수민족 문화를 보존시킨다는 명목으로 조선족의 전통문화를 중국 내 국가 제도 하에 두는 정책을 쓰게 되었다. 바로 동년 3월에 공포한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 예비목록> (国家级非物质文化遗产의 내용은 非物文化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又无形文化),也可非物 Intangible Heritage又无形,根据合科文《保非物文化公》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이다) 제도이다. 조선족 자치주 성립 60년사에서 일찍이 없었던 적극적 문화정책 시행인 셈이다. 그런데 동년 7월, 우리가 <강릉단오제>를 세계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로 등재하기 위해 신청했을 때 중국은 자신들의 단오절이 원류라며 강력하게 반발, 저지했다. 그러나 세계유네스코는 축제로서의 현재적 향유와 강릉시민의 강한 전승의지가 원류성에 우선한다며 <강릉단오제> 등재를 통과시켰다. 우리에게 선점을 빼앗긴 것이니 국민적 반발이 없지 않았음은 당연하다. 이로부터 우리와 중국 간에는 세계무형문화유산 ‘선점 전쟁’이 시작된 것이라고 말 할 수 있다.
“한국에 빼앗긴 단오절의 아픔, 문화유산 보호 강화의 계기로 삼자”, 2006년 단오절을 앞두고 중국의 주간지《21세기경제》가 내세운 논평문의 제목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은 문화유산 정책을 강화하기에 이르렀는데, 그 결과로 옌볜 조선족 자치주와 국무원 문화부 산하 <중화애국공정연합회>를 앞세워 조선족은 물론 북한의 문화와 역사를 포함하는 대규모 문화단지를 조성했고(진세근, 중앙일보, 2005년 5월20일자 2면) <고구려고분군>과 <농악무>를 자국 문화재로 지정한 뒤, 이어 세계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계기로 <단오절>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용선제(龍船祭)’라는 이름으로 세계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를 하고, 매년 6월 두 번째 토요일을 <문화유산의 날>(사단법인 한겨레아리랑연합회는 금년 10월 1일을 아리랑의 날로 제정, 선포한다)로 정해 공휴일로 제정하여 기념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0년 7월 중국조선족무형문화유산 전람관(연변 도문시)을 개관하는 등 동북삼성 조선족 문화유산에 관심을 집중시켜 나갔다. 그리고 드디어 2011년 ‘아리랑(阿里郞)’을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 등재하기에 이른 것이다.
그런데 우리 동포(물론 국적은 중국이지만)인 조선족의 아리랑을 ‘연변아리랑’ 또는 ‘조선족아리랑’이라고 구체화 하였다면 문제가 없지만, ‘아리랑(阿里郞)’으로 포괄 지정한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사태이다. 우선은 영원히 아리랑을 제도적으로 중국과 공유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는 사실이고, 이로부터 세계유네스코 등재와 별개로 국적, 소유권, 그리고 정체성 논란(최근 들어 중국 외교부 주관 해외 공연에서 소위 ‘어우동 식 한복’을 조선족의 복식이라면서 ‘korea’로 표기하고 배경음악을 아리랑을 쓰고 있다. 매우 우려스러운 실정이다. 이는 아리랑 자체를 기생의 노래로 한정하여 인식시킬 우려와 남북한이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오인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의 대상이 되어 영원히 회복 불능의 상처를 입었기 때문이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제2의 독도’로 끊임없는 갈등으로 소모전을 해야 할 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이는 즉시 입증 되었다. 즉, 이미 대표적인 사전에 아리랑의 역사를 한사군 시절 한반도로 간 노래라고 기록한 것이나 한겨레아리랑연합회가 이 사태와 관련, 정부의 미온책과 중국의 과욕을 지적한 성명서를 발표하자 2011년 7월 11일자 《인민일보》와 《신화망》은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였다는 사실에서다.
“문제는 한국이 아리랑을 길거리 음악으로 방치하고 상관하지 않는 기간 동안, 중국은 이미 아리랑을 중국소수민족 전통으로 인정했다는 사실이다.” (问题是在韩国将阿里郎作为路边音乐放任不管期间,中国已经将阿里郎当成了中国少数民族传统)
분명한 비아냥이 아닐 수 없다. 2005년 한겨레아리랑연합회의 정책제안을 김재홍 의원(민주당)이 발의하여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질의했다. 당시 청장은 아리랑의 문화재 지정 여부를 묻는 질의에 답변하며 ‘아리랑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아리랑연구소를 건립하겠다’고 했다. 이렇게 발언하고도 지정은커녕, 연구소 설립에 대해서도 거론 한 번 없고, 두 번의 형식적 실태조사를 끝으로 무산시킨 바 있어 이를 비아냥한 것이라면 반은 진실이기는 하다.
중국신문과 통신은 문화재청이 지정을 한다고 하고도 지정을 하지 않다가 자기네가 지정을 하니 뒤늦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구실 삼은 것이다. 그런데 과연 우리는 문화재청이 허언을 하였고, 그저 중국이 비아냥거렸다고만 치부하고 말아야 하는가? 만약 이번 2012년 신청을 하지 않아 우리가 먼저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를 했다해도 <고구려벽화군>처럼 조·중 공동으로, 또는 <단오제>와 <용선제>처럼 다른 양식으로 차후에 어떻게 할지 모르는 상황이으로 주시를해야 한다. 중국이 아리랑을 자국무형문화재로 등재한 배경을 보면 그 심각성을 알 수 있다. <후원 신나라레코드>
한겨레아리랑연합회 상임이사 www.arirangsong.com
'역사 이야기 > 한민족 X파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한글은 세계 最古 범어(산스크리스트)의 원형 (0) | 2013.10.08 |
---|---|
무궁화(無窮花), 나라 꽃의 비밀 (0) | 2013.10.01 |
한국이 세계의 종주국이 되는 5가지 이유 (0) | 2013.08.06 |
인류문명의 새벽을 연 한민족의 시조, 태호복희 (0) | 2013.06.10 |
환단고기에 나타난 문자의 역사 (0) | 2013.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