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북부여 (15)
태을주 천지조화

국통맥은 북부여北夫餘로-해모수 국통맥은 북부여北夫餘로 고열가단군이 “나는 이제 그만 물러나겠다” 하고선 산으로 들어가기 1년 전인 단기 2095년(기원전 239년)에 우리 민족 국통맥에 있어 획기적인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바로 지금의 길림성 서란에 있는 웅심산熊心山에서 해모수가 북부여를 건국한 것입니다. 해모수는 단군조선의 제후국인 고리국 출신으로, 백악산 아사달을 점거하고 오가 부족장의 6년 공화정을 철폐하였습니다. 이에 백성들이 해모수를 단군으로 추대하였고, 이로써 단군조선을 계승한 정통 왕조 북부여北夫餘 역사가 시작되었습니다. 단군조선의 멸망 과정에서 주목할 점이 있습니다. 단군조선 2,096년은 단군조선의 중심 세력으로 만주에 있던 진한(진조선)의 역사라는 것입니다. 고열가단군은 퇴위하였지만, ..
<고구려>북부여를 계승한 고구려 <고구려>북부여를 계승한 고구려 북부여는 비록 고조선을 계승하였지만, 고조선의 전 영역을 흡수하지는 못하였다. 그리하여 열국列國의 분열시대가 시작되어 고조선의 옛 영토에는 북부여, 동부여, 서부여, 낙랑국, 남삼한, 옥저, 동예 등의 여..
<일본환단고기북콘서트>단군조선과 북부여 <일본환단고기북콘서트>단군조선과 북부여 단군조선과 북부여 그리고 일본 단군조선으로 넘어가보면, 참 믿어지지 않지만 단군조선의 역사는 다 식민지역사라고 합니다. 2천 년 이상의 역사가 보이지 않는 거예요. 역사의 DNA 유전자..
부여,잃어버린 제국 부여 부여,잃어버린 제국 부여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는 부여에 대하여 부여는 이미 1세기 초에 왕호를 사용하였고, 중국과 외교관계를 맺는 등 발전된 국가의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북쪽으로는 선비족, 남쪽으로는 고구려와 접하고 있다가 3세기 말에 선비족의 침..
<해동성국>대진국(발해)와 통일신라의 남북국시대 <해동성국>대진국(발해)와 통일신라의 남북국시대 고조선 말기 여러 제후국들이 독립 세력으로 등장했던 이 시대를 ‘열국시대’라 일컫는데, 가장 유력했던 나라가 북부여, 옥저, 동예, 낙랑국, 원시 고구려(고리국), 남삼한(진..
<고구려>북부여를 계승한 고구려 <고구려>북부여를 계승한 고구려 북부여를 계승한 고구려 북부여는 비록 고조선을 계승하였지만, 고조선의 전 영역을 흡수하지는 못하였다. 그리하여 열국列國의 분열시대가 시작되어 고조선의 옛 영토에는 북부여, 동부여, 서부여, 낙랑국, 남..
<북부여>한국사,잃어버린 고리 북부여 <북부여>한국사,잃어버린 고리 북부여 북부여의 건국 대단군의 통치권이 약화되고 부단군과 지방 군장들의 목소리가 커지던 고조선 말기에 한민족의 새 역사를 개창한 분이 바로 북부여를 건국한 해모수이다. 해모수는 요하 상류에 위치한..
<북부여>잃어버린 고리 북부여-해모수 <북부여>잃어버린 고리 북부여-해모수 북부여의 건국 대단군의 통치권이 약화되고 부단군과 지방 군장들의 목소리가 커지던 고조선 말기에 한민족의 새 역사를 개창한 분이 바로 북부여를 건국한 해모수이다. 해모수는 요하 상류에 위치한..
<환단고기>동명왕 고두막한과 고구려의 시조 고주몽 <환단고기>동명왕 고두막한과 고구려의 시조 고주몽 <환단고기>동명왕 고두막한과 고구려의 시조 고주몽 그런데 환단고기『삼성기』 상에 깜짝 놀랄 만한 이야기가 또 있다. 한 무제가 우거의 왕검성만 정벌하려..